We made a plate by Han-ji(Korean paper)

 

3월 29일 활동수업은 한지로 전통 접시 만들기를 했어요. 옛날에 한지를 어디에 사용했는지 한지의 용도와 한지의 우수성에 대해 알아보고 육각 접시 만드는 방법을 같이 배웠습니다:)

 

방법에 따라 만들어 봤는데 학생들이 너무 예쁘게 잘 만들어줘서 사진찍는 재미가 있었어요😁

먼저 틀에 한지 종이를 대고 0.5cm 여유 있는 사이즈로 자른 후에 가루풀을 이용해서 꼼꼼하게 붙여주면 완성이에요.

 

그리고 바닥을 더 튼튼하게 만들기 위해 글루건으로 밑판을 붙여주면 예쁜 접시가 완성!!

0B26B127-9653-49F4-A40F-702E1FEA08E9

 

한지의 색감에서도 봄이 느껴지네요~ 정말 잘 만들었죠?

한지 공예가 어려울 거라고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쉽게 만들었어요.

 

마지막 사진은 다같이 완성된 접시를 들고 사진을 찍었어요~ 여러분도 한지공예에 도전해 보세요

다음 번 활동수업도 기대되네요:)

Joseon Tongsinsa history Museum

꽃피는 계절 3월 넷째주 금요일

LEXIS 부산캠퍼스에서는 5월,

용두산 공원에서 퍼레이드가 있을 조선 통신사 역사 박물관에 다녀 왔어요.

아직 외국인들에게 많이 알려지지 않은 ‘조선 통신사’에 대해 공부해 봤어요.

통신사는 지금으로 말하면 ‘외교를 담당하는 사람들’인데요.

17세기에 일본과 한국는  사이가 많이 좋지 않았댸요.

전쟁으로 많은 사람들이 죽자, 한국과 일본이 전쟁을 하지 않겠다는 약속과 함께

 통신사를 파견하기 시작했다고 해요.

DSC06557.JPG

▲ 사절단에서 왕의 편지를 받아 일본 왕에게 전달하던 정사

한국에서 일본으로 사절단을 보낼 때는 왕의 편지를 전달하는 정사,

깃발을 들고 따라가는 서동(10살쯤되는 아이),

글을 잘 쓰는 서기관, 악기를 연주하는 악사, 등 일본에 도착하면 안내를 하던 일본인들까지 해서

수천명의 사람들이 참여했다고 해요.

DSC06531DSC06532DSC06533DSC06534

각자 자유롭게 돌아다니면서 박물관을 구경 했어요.

외국인 학생들에게는 아직 어려운 한국 역사이지만,

부산에서 빼 놓을 수 없는 중요한 역사를 공부할 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아요. 🙂

 

DSC06548

활동하기 좋은 날

함께 역사 공부하러 조선 통신사 역사관에 가 보는 건 어때요?

Making japchae (Korean stir fried noodles and vegetables)

19.03.15 부산 렉시스에서는

한국 요리 수업이 있었어요.

이 날 우리는 잡채를 만들었어요!

3238BF60-EBD4-4318-91A1-1493EF5446E2

먼저 잡채에 대해 알아 봤어요.

잡채는 잔치, 결혼식, 귀한 손님이 오는 날에 먹어요.

그리고 많은 채소를 썬 뒤 섞어서 먹는 음식이에요.

CBB04615-CAE8-437F-AB82-CD6635E667AE

잡채를 만들기 전에 잡채를 만드는 영상을 봤어요.

73EDA300-8234-4890-BA32-7C2BB614CF38.jpeg

잡채에 필요한 재료들을 함께 공부했어요!

당면을 물에 담가 놓고 채소를 채 썰었어요.

그리고 어묵도 얇게 채 썰었어요.

시금치를 데친 후에

F652B7AF-9E33-47D2-AEFE-55861F261424

시금치와 양념을 버무렸어요.

373AEDF3-F588-4948-9DDF-43ED90A2F238

그리고 양파와 당근을 볶으며 간을 맞췄어요.

6BD702CD-273D-47C0-9A66-DCBC876D93BE

양파, 당근, 시금치를 한 곳에 모았어요.

D804DC14-ED19-4B3E-836B-CF2C248FB34C

불린 당면을 삶아서 간장과 참기름으로

간을 맞춘 다음

F3648173-4E0C-4281-85B9-19C70830D550

모든 재료를 함께 버무리면 잡채가 완성된답니다!

54234A4F-A153-41FC-B12B-98FE74D28B3D

각자 만든 잡채를 나눠 먹었어요.

4316EC0C-225C-4C63-AD3A-8AC468938237

잡채를 맛있게 먹으면서

잡채에 대한 간단한 문제를 풀었어요.

8B8917C3-69DD-4148-9BAD-1535CB87D32D

요리하는 방법이 조금 복잡했지만

모두들 잘 만들었고 또한 잘 먹었어요!

특별한 날, 귀한 손님이 오는 날에는

잡채를 만들어 보세요!😊

Youngdusan Park Tour(용두산 공원투어)

3월 8일 미세먼지가 조금 줄었던 토요일

남포동 용두산 공원에 다녀 왔어요~

DSC06369

DSC06356

남포동 지하철 역 1번 출구에서 도보로 5분만 걸으면

용두산 공원 입구가 딱! 나온답니다.

DSC06362

이번에 새롭게 생긴 대형 전광판을 발견한 학생들!

DSC06364

증강현실을 이용해 캐릭터들과 사진을 찍고

첫 번째 구간에 들어서면 입구에서 촬영한 사진을

미디어월에서 볼 수 있답니다.

DSC06367

미래로 보내는 사진도 찰칵!

다들 이 날을 추억하게 되겠죠~?

DSC06370

입구에서 찍었던 사진들이

미디어월에 나오고 있어요~!

DSC06373

올라갈 땐 편하지만 내려올 땐 조금 힘들었던 계단도

이제 볼거리가 생겨서 지겹지 않아요~!

DSC06376DSC06378

네온아트가 마련된 다음 구간에서는

부산 중구의 관광명소들을

알록달록한 색들로 한눈에 볼 수 있어요~!

DSC06382

마지막으로 천장 거울이 설치된 세 번째 구간에서

LED 조명과 학생들의 모습이 투영돼 신비로운 분위기를

느낄 수 있었어요~!

DSC06387DSC06388

부산타워와 함께 단체샷!

촬영 중에 비둘기가 유유히 지나가길래 함께 한 컷!

DSC06390DSC06392

부산에서 새해맞이를 할 때

이곳 용두산 공원의 종각에서

제야의 종소리를 듣는답니다~!

DSC06395

용두산 공원의 상징물인 용과 함께 찰칵!

용두산은 부산 3명산의 하나인데,

이 산세가 흡사 용 모양이어서

적들을 삼켜버릴 기상이라 하여

용두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해요~!

DSC06396

부산타워의 입장료는 성인 기준 8,000원이에요~!

해가 진 후 올라가면 야경이 멋지니 가실 분들은 참고하세요~

DSC06400DSC06401DSC06402

남산타워처럼 부산타워에도 사랑의 자물쇠가 있어요

보는 것만으로도 사랑이 뿜뿜 뿜어져 나오네요 ^^

DSC06407

DSC06410

용두산 공원에서 내려와 국제시장을 지나

비프광장을 끝으로 투어가 마무리됐어요.

DSC06417

DSC06418

금요일이지만 아직 이른 시간이라

한산했던 비프광장!

DSC06421

씨앗호떡도 먹고 떡볶이도 먹고

즐거운 나들이 시간이었습니다~^^